본문 바로가기
전기쟁이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공부

by UooHee 2024. 1. 27.
반응형

 

Q) 다음 중 송전 계통의 절연 협조에 있어서 절연레벨이 가장 낮은 기기는?

 

1) 피뢰기

2) 단로기

3) 변압기

4) 차단기

 

--->  1) 피뢰기

 

** 선로애자 > 차단기, 단로기 > 변압기 > 피뢰기 순

 

Q) 화력발전소에서 절탄기의 용도는 ?

 

1) 보일러에 공급되는 급수를 예열한다.

2) 포화증기를 과열한다.

3)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4) 석탄을 건조한다.

 

---->   1) 보일러에 공급되는 급수를 예열한다.

 

Q) 송배전 선로에서 선택지락 계전기 (SGR)의 용도는?

 

1) 다회선에서 접지고장회선의 선택

2) 단일 회선에서 접지 전류의 대소 선책

3) 단일 회선에서 접지 전류의 방향 선택

4) 단일 회선에서 접지 사고의 지속시간 선택

 

----->  1) 다회선에서 접지고장회선의 선택

 

 

Q) 고장 즉시 동작하는 특성을 갖는 계전기는 ?

 

1) 순시계전기

2) 정한시 계전기

3) 반한시 계전기

4) 반한시성 정한시 계쩐기

 

-----> 1) 순시 계전기

 

 

** 보호계전기 종류

* 동작 시간에 따른 보호계전기의 종류

(1) 순시(순한시)계전기 :  일전 전류가 흐르면 지연없이  동작

(2) 정한시 계전기 : 일정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일정시간 지연 후 동작  (크기와 상관이 없음)

(3) 반한시 계전기 : 일정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크기와 동작시간이 반비례로 동작

(4)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 :  어느 전류값까지는 반한시, 그 이상은 정한시로 동작

 

* 용도에 따른 보호계전기의 종류

(1) 과전류 계전기 (OCR)

(2)  과전압 계전기 (OVR) 

(3) 부족 전압 계전기 (UVR)

(4) 지락(접지) 계전기 (GR)

(5) 선택 지락 계전기 (SGR)

 

 

Q) 댐의 부속 설비가 아닌 것은?

 

1) 수로

2) 수조

3) 취수구

4) 흡출관

 

---> 4) 흡출관 : 수차 밑에 설치한 수압관, 유효낙차를 늘리는 역할

 

Q) 사고, 정전 등의 중대한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정전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예비 전원용 배전 선로로 전환하는 장치는 ?

 

1) 차단기

2) 리클로저

3) 섹셔널라이저

4) 자동부하전환개폐기

 

--->  4) 자동부하전환개폐기 (ATS) : 사고나 정전 시에 즉시 자동적으로 예비 전원으로 전환하는 개폐기

 

Q) 전선의 표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전선이 굵을 수록,  주파수가 높을 수록 커진다.

2) 전선이 굵을 수록, 주파수가 낮을 수록 커진다.

3) 전선이 가늘 수록, 주파수가 높을 수록 커진다.

4)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낮을 수록 커진다.

 

---> 1) 전선이 굵을 수록, 주파수가 높을 수록 커진다.

 

* 표피효과는  주파수, 도전율, 투자율이 높을 수록 그리고 전선이 굵을 수록 커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