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배전선로의 주상 변압기에 고압 측 - 저압 측에 주로 사용되는 보호장치의 조합으로 적합한것은?
1) 고압측 : 컷아웃 스위치, 저압측 : 캐치홀더
2) 고압측 : 캐치홀더 , 저압측 : 컷아웃 스위치
3) 고압측 : 리클로저, 저압측 : 라인퓨즈
4) 고압측 : 라인퓨즈, 저압측 : 리클로저
---> 1) 고압측 : 컷아웃 스위치, 피뢰기, 저압측 : 캐치홀더
Q) 접지봉으로 탑각의 저항값을 희망하는 접지 저항값까지 줄일 수 없을 떄 사용하는 것은?
1) 가공지선
2) 매설지선
3) 크로스본드선
4) 차폐선
----> 2) 매설지선 (매설지선은 탑각의 접지저항을 낮추어 역섬락을 방지하기 위함)
Q) 임피던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를 갖지 않는다.
2) 절대량이 아닌 기준량에 대한 비를 나타낸 것이다.
3) 기기 용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의 값을 갖는다.
4) 변압기나 동기기의 내부 임피던스에만 사용할 수 있다.
---> 4) 모든 전력기기에 적용 가능
Q) 화력발전소에서 증기 및 급수가 흐르는 순서는
1) 절탄기 -> 보일러 -> 과열기 -> 터빈 -> 복수기
2) 보일러 -> 절탄기 -> 과열기 -> 터빈 -> 복수기
3) 보일러 -> 과열기 -> 절탄기 -> 터빈 -> 복수기
4) 절탄기 -> 과열기 -> 보일러 -> 터빈 -> 복수기
----> 1) 절탄기 -> 보일러 -> 과열기 -> 터빈 -> 복수기
Q) 송전선로의 고장전류계산에 영상임피던스가 필요한 경우는 ?
1) 1선 지락
2) 3상 단락
3) 3선 단락
4) 선간 단락
---> 1) 1선 지락
3상 단락 | 정상분 | ||
선간 단락 | 정산분 | 역상분 | |
1선 지락 | 정상분 | 역상분 | 영상분 |
* 계단모양* 무조건 외우기!
Q) 전력원선도의 가로축과 세로축을 나타내는 것은?
1) 전압과 전류
2) 전압과 전력
3) 전류와 전력
4)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 4)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Q) 송전선로에서의 고장 또는 발전기 탈락과 같은 큰 외란에 대하여 계통에 연결된 각 동기기가 동기를 유지하면서 계속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지를 판별하는 안정도는?
1) 동태안정도
2) 정태안정도
3) 전압안정도
4) 과도안정도
---> 4) 과도안정도
정태 안정도 : 부하 불변 혹은 완만한 부하 변화시
과도 안정도 : 부하 급변 혹은 사고 (큰 외란) 발생 시
동태 안정도 : AVR, 조속기 고려시
'전기쟁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공부 (1) | 2024.01.27 |
---|---|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풀이 공부 (강자성체, 역자성체, 상자성체) (0) | 2024.01.24 |
전기기사 필기 시험 기출 문제 풀이 전기기 <동기 발전기> (0) | 2024.01.17 |
전기기사 필기 문제풀이 전기기기 (유도전동기 부분) (0) | 2024.01.16 |
전기기사 필기 전기설비기술기준과목 기출문제 공부 1 (0)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