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중 전전압 기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동 시에 역률이 좋지 않다.
2) 소용량으로 기동시간이 길다.
3) 소용량 농형 전동기의 기동법이다.
4) 전동기 단자에 직접 정격 전압을 가한다.
----> 2번
소용량의 농형 유도 전동기에 정격 전압을 가하면, 정격전류이 4~6배에 이르는 기동전류가 흐른다.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전류가 적어 이에 견디도록 설계 되어 있으며,
전동기 단자에 직접 정격전압을 공급, 기동시간 또한 짧다.
+) 농형 유도전동기 기동법
- 전 전압기동(직입기동), Y-△ 기동, 기동보상기법, 리액터 기동법
+) 권선형 유도전동기 기동법
- 2차 저항 기동법, 2차 임피던스 기동법, 게르게스법
Q) 동기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법 중 집중권인 경우 매극 매상의 홈(SLOT)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 1번
집중권 방식 : 매극 매상의 도체를 1개의 슬롯에 집중
분포권 방식 : 매극 매상의 도체를 2개 이상의 슬롯에 분포
Q) 유도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인버터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1차 주파수에 비례하여 1차 전압을 공급하는 이유는?
1) 역률을 제어하기 위해
2) 슬립을 증기시키기 위해
3) 자속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4) 발생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 3번
유도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인버터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주파수가 가변되면서 전압도 비례적으로 가변되어 출력되도록 설계된 방식.
주파수를 변화 시킬때 유도전동기의 자속이 일정하게 되므로, 토크도 일정하다는 성질 이용
+) 농형 유도 전동기 속도 제어법
- 주파수 변환법, 극수 변환법, 전압 제어법
+) 권선형 유도 전동기 속도 제어법
- 2차 저항법과 2차 여자법, 종속법 (직렬, 차동, 병렬)
Q) 3상 유도전압조정기의 원리를 응용한 것은?
1) 3상변압기
2) 3상 유도전동기
3) 3상 동기 발전기
4) 3상 교류자 전동기
----> 2번
'전기쟁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풀이, 공부 _ 전력공학 (0) | 2024.01.23 |
---|---|
전기기사 필기 시험 기출 문제 풀이 전기기 <동기 발전기> (0) | 2024.01.17 |
전기기사 필기 전기설비기술기준과목 기출문제 공부 1 (0) | 2024.01.14 |
전기 기초 - 인터락 (interlock) 회로 (동시 구동 안되는) (0) | 2023.02.13 |
전기기초_푸쉬버튼, 릴레이 회로 이해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