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그림의 회로는 PB1, PB2를 통해
LAMP인 L1, L2를 동작하는 회로이다.
단순히 L1,L2를 각 각의 PB와 R로 LAMP를 구동하게 하는데
만약 L1/L2를 동시에 켜지 않고 싶을 때에는 어떻게 해야할까?
동시에 켜지지 않게하기위한 회로는 보통
인터락회로를 이용한다.
" INTERLOCK CIRCUIT "
인터 록?락? , 인터로크??
다양하게 읽는 듯.
INTERLOCK 의 사전적 의미는 "서로 맞물리다"
밑의 회로가 인터락 회로

램프 2 개를 구동하기위한 회로인데 굉장히 복잡하다.
회로를 찬찬히 살펴보면

푸쉬버튼에 릴레이가 각 각 a접점으로 병렬
그 다음에는 b 접점 릴레이가
그리고 램프 구동을 위한 a접점 릴레이

b접점의 경우, 교차로
1번 접점에 연결된 2번 b 접점 릴레이
2번 접점에 연결된 1번 b 접점 릴레이
이렇게 교차를 둔게 인터락 회로
동시 구동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위의 그림은 PB 1을 누를 경우의 구동이다.
PB1을 누를 경우, R1릴레이가 각 접점에 신호를 보내,
a 접점은 닫히고, b접점은 열리게 된다.
그리고 L1 의 램프가 켜지게 된다.

이렇게 PB1을 눌러 L1이 켜진 상태에서
PB2를 누르게 되면
이미 PB1을 눌러 열리게 된 R1의 B접점이
R2로 가는 전류를 통과 시키지 않아서
PB2를 누른다 해도 R2, L2 모두 여자 되지 않고 작동 되지 않는다.
동시 구동을 막고 싶다면, 포인트
인터락! 맞물리는 구조
a, b접점을 잘 써야함.
아래 그림 별표 별표

'전기쟁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필기 문제풀이 전기기기 (유도전동기 부분) (0) | 2024.01.16 |
---|---|
전기기사 필기 전기설비기술기준과목 기출문제 공부 1 (0) | 2024.01.14 |
전기기초_푸쉬버튼, 릴레이 회로 이해 (0) | 2023.02.11 |
푸시버튼스위치, N.O / N.C 접점 이해 (0) | 2023.02.10 |
전기기초 시퀀스 제어계 "논리회로"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