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쟁이

전기기사 필기 시험 기출 문제 풀이 전기기 <동기 발전기>

by UooHee 2024. 1. 17.
반응형

 
 
 
 
Q) 동기 발전기를 병렬 운전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조건은?
 
1)기전력의 용량이 같을 것
2)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3)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4)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  1번
 
동기 발전기의 병렬 운전 조건
- 기전력의 크기, 위상, 주파수, 파형이 같을 것.
 
Q) 동기 발전기에 설치된 제동 권선의 효과로 틀린 것은?
 
1) 난조 방지
2) 과부하 내량의 중대
3) 송전선의 불평셩 단락 시 이상 전압 방지
4) 불평형 부하 시의 전류, 전압 파형의 개선
 
 
-->   2번
 
제동권선 : 난조 방지 권선
난조를 방지, 일정 회전을 하기 위한 것.
동기기 회전자 자극표면에 설치한 저항이 작은 단락 권선
발전기 회전자에 있는 단락환이 제동권선
 

 
Q)  동기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을 분포권으로 하면 어떻게 되는가?
 
1) 난조를 방지한다.
2) 기전력의 파형이 좋아진다.
3) 권선의 리액턴스가 커진다.
4) 집중권에 비하여 합성 유기 기전력이 증가한다.
 
 
--->   2번
 
집중권 : 1개의 슬롯에 집중
분포권 : 2개 이상 슬롯에 집중 ( 고조파 감소, 파형 개선, 누설 리액턴스 감소, 집중권에 비해 기전력 감소)
 
 
 
Q)  유도자형 동기 발전기의 설명으로 옳은것 은?
 
1) 전기자만 고정되어 있다.
2) 계자극만 고정되어 있다.
3) 회전자가 없는 특수 발전기이다.
4) 계자극과 전기자가 고정되어 있다.
 
 
---> 4번
 
유도자형 동기 발전기 : 계자와 전기자 고정, 중앙에 유도자라는 회전자를 설치
고주파 발전에 사용되며  슬립링 필요없음.
 
 

 
Q)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시험은/?
 
1) 부하시험과 돌발 단락시험
2) 단상 단락시험과 3상 단락시험
3) 무부하 포화 시험과 3상 단락 시험
4) 정상, 역상, 영상 리액턴스의 측정 시험
 
----> 3번
 
단락비 계산시 필요 시험 : 무부하 포화, 3상 단락 시험
 
Q) 동기 발전기의 돌발 단락 전류를 주로 제한 하는 것은??
 
1)  동기 리액턴시
2) 권선저항
3) 누설 리액턴스
4) 동기 임피던스
 
 
--->   3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