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63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풀이, 공부 _ 전력공학 Q) 배전선로의 주상 변압기에 고압 측 - 저압 측에 주로 사용되는 보호장치의 조합으로 적합한것은? 1) 고압측 : 컷아웃 스위치, 저압측 : 캐치홀더 2) 고압측 : 캐치홀더 , 저압측 : 컷아웃 스위치 3) 고압측 : 리클로저, 저압측 : 라인퓨즈 4) 고압측 : 라인퓨즈, 저압측 : 리클로저 ---> 1) 고압측 : 컷아웃 스위치, 피뢰기, 저압측 : 캐치홀더 Q) 접지봉으로 탑각의 저항값을 희망하는 접지 저항값까지 줄일 수 없을 떄 사용하는 것은? 1) 가공지선 2) 매설지선 3) 크로스본드선 4) 차폐선 ----> 2) 매설지선 (매설지선은 탑각의 접지저항을 낮추어 역섬락을 방지하기 위함) Q) 임피던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를 갖지 않는다. 2) 절대량이 아닌 기준량에 대한 비.. 2024. 1. 23.
전기기사 필기 시험 기출 문제 풀이 전기기 <동기 발전기> Q) 동기 발전기를 병렬 운전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조건은? 1)기전력의 용량이 같을 것 2)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3)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4)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 1번 동기 발전기의 병렬 운전 조건 - 기전력의 크기, 위상, 주파수, 파형이 같을 것. Q) 동기 발전기에 설치된 제동 권선의 효과로 틀린 것은? 1) 난조 방지 2) 과부하 내량의 중대 3) 송전선의 불평셩 단락 시 이상 전압 방지 4) 불평형 부하 시의 전류, 전압 파형의 개선 --> 2번 제동권선 : 난조 방지 권선 난조를 방지, 일정 회전을 하기 위한 것. 동기기 회전자 자극표면에 설치한 저항이 작은 단락 권선 발전기 회전자에 있는 단락환이 제동권선 Q) 동기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을 분포권으로 하면 어떻게 .. 2024. 1. 17.
전기기사 필기 문제풀이 전기기기 (유도전동기 부분) Q )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중 전전압 기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동 시에 역률이 좋지 않다. 2) 소용량으로 기동시간이 길다. 3) 소용량 농형 전동기의 기동법이다. 4) 전동기 단자에 직접 정격 전압을 가한다. ----> 2번 소용량의 농형 유도 전동기에 정격 전압을 가하면, 정격전류이 4~6배에 이르는 기동전류가 흐른다.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전류가 적어 이에 견디도록 설계 되어 있으며, 전동기 단자에 직접 정격전압을 공급, 기동시간 또한 짧다. +) 농형 유도전동기 기동법 - 전 전압기동(직입기동), Y-△ 기동, 기동보상기법, 리액터 기동법 +) 권선형 유도전동기 기동법 - 2차 저항 기동법, 2차 임피던스 기동법, 게르게스법 Q) 동기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법 중 집중권인 경우 .. 2024. 1. 16.
전기기사 필기 전기설비기술기준과목 기출문제 공부 1 Q) 다음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지중전선로는 기설 지중약전류전선로에 대하여 (a) 또는 (b)에 의하여 토인상의 장해를 주지 않도록 기설약전류전선로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거나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1) a: 누설전류 b: 유도작용 (한국 전기설비규정 334.5) 지중전선로는 기설 지중약전류전선로에 대하여 누설전류 또는 유도작용에 의하여 통신상의 장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기설약전류 전선로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거나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Q) 사용전압이 22.9[kV]인 가공전선로의 다중접지한 중성선과 첨가 통신선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하는가? (단,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중성선 다중접지식의 것으로 전로에 지락이 생긴 경우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 2024.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