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Auto Cad23

Auto Cad _ 오토캐드 _ 색칠하기, 빗금 넣기 Hatch 캐드 작업 시, 단면표현을 할때는 빗금을 넣기도 하고 그 외에 강조할때나, 표면 표현 등 기타 등등으로 많이 사용 하는 "hatch" 색칠하기 라고 이해해도 좋은 "hatch" Hatch 명령어 (단면 빗금표시, 색칠하기 등) 단면을 표시할때 쓰는 빗금이나, 색칠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는 명령어 " HATCH (H) " 닫혀 있는 선 안에 색칠(빗금 등) 해주는 단축키 이다. 빈 원 (왼쪽)을 빗금친 원(오른쪽 위) 혹은 색칠된 원(오른쪽 아래)으로 바꾸어 준다. "H" + enter -> 원하는 곳을 클릭 원안에 해치를 넣고 싶기 때문에 원 안을 클릭 혹은, "H" + enter -> "S (객체선택) " -> 객체 선택 (형상이 원처럼 단순하다면 원안을 클릭해도 되지만, 선이 많다면 객체 선택을 통해,.. 2022. 7. 13.
Auto Cad _ 오토캐드 _ 선 굵게 하기, 선굵기 변경 "Pe" 작업을 하다 보면, 이렇게 선 굵기를 굵게 변경할 일이 필요한데. 인쇄만 굵게 나오게 하고 싶다면, 레이어를 생성해 레이어 선굵기를 설정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레이어 상관없이 일부만 굵기를 변경하고 프다면 이 방법을 추천한다. PE (PEDIT) 선굵기 변경 및 선 결합. "PE(PEDIT)" + enter -> y (전환하기를 원하십니까?) -> w (폭) -> 원하는 선 굵기, 숫자 입력 이렇게 순서대로 따라 한 후 원하는 굵기만큼 숫자를 입력을 하면 선의 굵기가 변경 된다. 선 굵기는 이것저것 입력 해보고, 원하는 굵기를 찾는게 좋을 것 같다. 이렇게 변경해 놓으면, 컴퓨터 화면상에도 굵게 보이고 인쇄를 할 경우나, PDF로 변환했을 경우에도 선이 굵게 보인다. 화면상에 보이는 만큼 굵게 나오기 때문.. 2022. 7. 12.
Auto Cad _ 오토캐드 _ 원이 곡선이 깨질때, 원이 다각형으로 보일 때 "re(regen)" 캐드를 하다보면, 이렇게 원이나 곡선이 꺠져 보일때가 있다. 다각형을 그린것도 아닌데, 원이 그림처럼 각이 막 생겨 있다. 캐드를 사용하다보면 자주 발견되는 현상인데, 다행히 눈에 보이는 것만 깨져 보이는 것이지 곡선이나 원은 원래 그대로 있다. 이럴땐 정말 너무 간단한 해결방법이 있다. "RE(REGEN)" + enter 이렇게 원이 매끈하게 변한다. 너무나도 간단한데 신입들이 많이 질문하고 자주 당황해 하는 상황인데, 당황할 필요도 없다. 실제로 내가 작업한 것들이 깨진것이 아니니 작업 중간중간 깨지는 현상이 보이면 30초만 투자해서 RE + ENTER 잊지말고 기억하자! 2022. 7. 11.
Auto Cad _ 오토캐드 _ 치수 축적 변경, 실 크기랑 치수가 다를때 "DIMFLAC" 위 그림을 보면, 특성-형상에서의 반지름은 5 (빨간 표시), 치수를 찍었을때의 반지름은 10(파란표시) 이다. 실제로 원을 그릴 때, 반지름 5인 원을 만들었음에도 치수는 반지름 10인 두배로 찍힌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도면을 업체나 동료에게 받은 파일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럴때는 딱 두가지만 확인하면 된다. * DIMFLAC & 축적 파일 축적(스케일, 배율) 변경 하기 "DIMFLAC" 실제 형상의 크기와 치수를 찍었을때 나오는 치수와 다를 경우에 확인 해봐야 하는 DIMFLAC "DIMFLAC" -> enter -> 백스페이스바(숫자지우기) -> "1" 입력 후 엔터 현 파일은 dimflac 입력 후 엔터를 쳤더니, 현재 값이 2.0 으로 설정 되어 있음 (그래서 반지름 5인 원을 그렸음에.. 2022. 7. 10.
반응형